본문 바로가기
728x90

부동산/부동산 기초35

부동산 기초_아파트 주택 재건축 사업 추진 절차 서울에는 더이상 신규 택지가 없다. 기존의 주택을 재개발 또는 재건축을 통해 공급을 해야한다. 특히 서울은 오래된 아파트가 많아 재건축 사업을 기다리는 단지가 많다. 그래서 오늘은 재개발·재건축 중 아파트 주택의 재건축 사업 추진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자. ※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점은 지난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02.09 - [부동산/부동산기초] - 부동산 기초_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부동산 기초_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재개발 노후・불량건축물과 도로・공원・주차장・학교 등 정비기반시설까지 열악한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사업 기반시설까지 모두 새롭게 구축하는 방식 해당 지역 전반을 정비하기 때 haesikii.tistory.com 재건축사업의 정의 사업절차를 살펴보기 전에, 재.. 2022. 4. 12.
부동산 기초_분양권과 입주권 차이? 부동산 뉴스를 접할 때, 헷갈리는 용어가 나온다. 바로 분양권가 입주권이다. 두 단어 모두 새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이다. 하지만 입주권과 분양권에 따라 초기 투자비용과 등기 여부, 과세 등의 기준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그 차이를 정확히 알고 구분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주권과 분양권의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입주권이란? 재건축·재개발 사업장 조합원이 새 집에 입주 할 수 있는 권리 재개발은 토지나 주택 중 하나를 소유하면 조합원 자격이 주어져 입주권을 확보 할 수 있지만, 재건축은 토지와 건물의 소유권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입주권이 주어진다. 사업시행인가를 거쳐 관리처분계획 인가 시점에 발생한다. 기존 주택의 철거 여부와 관계없이 조합원에게 주어지므로, 관리처분인가.. 2022. 4. 10.
부동산 기초_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과 용적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면적에 대한 단어를 알아야한다. 대지면적, 연면적, 건축면적은 무슨 뜻인지 알 것 같은데, 설명하긴 어려운 용어들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의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건폐율 용적률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조 2022.01.26 - [부동산/부동산기초] - 부동산 기초_건폐율, 용적률이란? 부동산 기초_건폐율, 용적률이란? 집을 고를 때, 쾌적한 주거환경은 주택구매를 결정짓는 중요 요소 중 하나이다. 건설사들은 산책로, 공원, 휴식공간, 텃밭 등 다양한 시설을 아파트 단지 내 조경에 넣고 있다. 이처럼 조경이 강 haesikii.tistory.com 대지면적이란? 건축용어로 집을 지을 땅인 대지의 수평투영면적을 말한다. 수평투영면적이란 하늘에서 내려다본.. 2022. 4. 9.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5_상속세 지난 포스팅에서 증여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2.03.25 - [부동산/부동산기초] -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4_증여세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4_증여세 부동산 관련 세금과 관련하여 주택거래 위주로 기본이 되는 항목들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 주제들은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세금에 대한 내 haesikii.tistory.com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형·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하거나 타인의 재산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증여라고 한다. 증여와 비슷한 개념으로 상속이 있다. 증여는 살아생전에 이전하는 것이지만, 상속은 증여자의 사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이다. 상속세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것이 더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인지도 알아보자. 상속세란?.. 2022. 3. 31.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4_증여세 부동산 관련 세금과 관련하여 주택거래 위주로 기본이 되는 항목들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 주제들은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세금에 대한 내용들은 아래 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03.21 - [부동산/부동산기초] -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1_취득세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1_취득세 부동산 매매 시 발생하는 세금 중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살 때 내는 '취득세', 살면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재산세', 그리고 팔 때 이익에 대해 내는 '양도소득세'이다. 지금까지 정부가 집값 안 haesikii.tistory.com 2022.03.22 - [부동산/부동산기초] -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2_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 2022. 3. 25.
부동산 관련 세금 시리즈 3_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란? 부동산, 부동산에 관한 권리, 주식 등을 유상으로 양도하여 얻은 양도 차익에 대해 부과하는 국세 양도소득세는 과세대상 부동산 등의 취득일부터 양도일까지 보유기간 동안 발생된 이익(소득)에 대하여 일시에 양도시점에 과세한다. 따라서 양도 시 차익에 대해 매기는 것으로 집값이 올라 매도를 했다면 부과되나, 집값이 내려서 손해를 못봤다면 과세되지 않는다.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 - 거주자: 부과 해당 자산의 양도일까지 연속하여 5년 이상 국내에 주소나 거소를 둔 자로, 국내양도소득 및 국외양도소득에 대해 납세 의무가 있다. - 비거주자: 국내의 소득에 대해서 납세의무가 있다. - 증여자가 자산을 직접 양도한 경우의 양도소득에 대해서는 증여자와 증여받은 자가 연대하여 납세의무를 진다. - 공동 소유.. 2022. 3. 23.
728x90
반응형